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6 아우구스티누스 [서양철학사] 서양철학사1 군나르 시르베크 이학사 1판 5쇄 2020년 7월 20일 230p - 258p (29p) 독서마라톤: 1,804/42,195 (4.28%) -잡담(서론) 고대 후기 로마 제국의 전성기가 끝나고 4세기경 로마 제국이 둘로 나뉘어졌다. 그리고 5세기경에는 서로마제국이 게르만족에 의해 붕괴되기 시작한다. 잦은 전쟁으로 인해 로마 시민들의 불안감과 고통을 엿볼 수 있다. 나라가 갈라지고 멸망하는데 철학이 무슨 소용있겠는가? 인민들은 고통에 몸부림쳤을 것이고 철학보다도 더 맹목적인 희망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 결과 기독교 시대가 도래했다. Q) 신과 인간 그리고 세계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요 견해들을 설명하라.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신학자로 성경을 믿는다. 따라서 유일신인 하느님이 창조한 세상에.. 2021. 6. 10. 고대 회의주의 [서양철학사] 서양철학사1 군나르 시르베크 이학사 1판 5쇄 2020년 7월 20일 208p - 229p (22p) 독서마라톤: 1,775/42,195 (4.21%) Q)회의주의자들이 논한 문제들은 어떤 것이었나? 감각 경험과 귀납법, 연역법이 있었다. 고대 회의주의는 인식론적 입장에서 회의주의였다. 인간이 참된 진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결론이었다. 그렇다고 모든 탐구행위를 거부하고 비판한 것은 아니다. 단지, 인간이 진리에 다가설 수 있다는 희망에 고통 받지 말라는 스탠스였다. 감각 경험과 귀납법, 연역법 모두 인간이 진리에 다가설 수 없는 한계를 묘사하는 내용이다. 어떤 온도가 누구에겐 따뜻할 수도 누구에겐 차가울 수 있는 것처럼 감각은 주관적이다. 따라서 감각은 대상의 상태 혹은 관찰자의 상태에 따라 .. 2021. 6. 10.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 [서양철학사] 서양철학사1 군나르 시르베크 이학사 1판 5쇄 2020년 7월 20일 184p - 207p (24p) 독서마라톤: 1,753/42,195 (4.15%) -잡담(서론) 고대 아테네 철학자 3인방을 지나 대제국 시기로 접어들었다. 인간은 환경에 영향 받는 모습을 보여준다. 20만 명 남짓의 도시국가 폴리스에서 가능했던 철학들이 비대해진 알렉산드로스 제국에선 적용이 불가능해졌다. 당시에 TV나 라디오도 없었으니 사회 안정을 위해 모두를 연결시킬 철학이 필요했다. 위 사진은 구글 맵에 헬레니즘 제국 크기를 대충 그림판으로 구분지었다. 횡으로 넓게 분포했고 크기는 현재 중국 크기와 맞 먹거나 내외였던 듯하다. 도시국가는 사진 속 그리스보다도 작은 "아테네" 크기다. 서울 인구수가 958만 명으로 집계되니 20만 .. 2021. 6. 9. 고통을 직면하라 1. 고통을 피할 시간에 적응하는 데 노력해라. 내가 정말 하기 싫은 것들은 항상 언젠가 또 다시 돌아온다. 멈추지 않는 부메랑처럼 돌고 돌아 온다. 초등학교 때 피했던 것들은 중학교 때 되돌아오고, 중학교 때 피했던 건 고등학교 때 돌아온다. 운동은 피하다 체력이 안 좋은게 느껴져서 20살 때 시작하게 됐다. 운동 보다도 더 피하려고 애썼던게 있는데 그게 영어다. 한국에서만 살거라고 다짐해도 결국엔 내 앞에 영어라는 벽이 돌아왔다. 그리고 이번엔 이자가 붙은 후회까지 같이왔다. 내일 당장 죽을게 아니라면 어떻게 하면 해낼지 고민하는게 더 적은 스트레스를 줬다. 한 번이다 한 번. 한 번 적응하고 나면 다음 똑같은 과제가 주어지더라도 쉽게 헤쳐나간다. 한 번 피하면 다음 번에 또 피해야 하고 그 다음에 .. 2020. 2. 1. <블랙미러 3 - 샌 주니페로>, 미래에 레즈로 사랑한다면 -블랙미러를 시즌 1부터 본 사람들에겐 무난한 반전, 이성애자라 개인적으로 심심한 느낌 ★★ 대체적으로 레즈비언인 사람들에겐 영상미와 분위기가 아주 돋보이는 영화라는 평이 많아 그런 영화를 찾는 분께 추천! [서론] 내가 넷플릭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블랙미러 시리즈 중 한 편이다. 블랙미러 시즌 1, 2를 본 사람들에겐 샌 주니페로에서 나오는 반전은 영화 중반부터 쉽게 예상할 수 있었기에 반전에 의한 쾌감은 전작들에 비해 적었던 편이었다. 전체적으로 영화는 여행과 같이 자유에 대한 생각들을 유발한다. 우리에게 종교적으로 너무나 친숙한 천국이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이 됐다. 블랙미러에서 소개하는 기술들을 보면 정말 인간은 조물주가 되고싶은건가 싶기도하고 내가 죽기전에 인간이 조물주가 되는 날이 오겠구나 싶다... 2020. 1. 31.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 728x90 반응형